[저널클럽] 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s(FHIR) (03.28) | ||
---|---|---|
작성자 박민지 | 조회수 433 | 작성일 2022.04.07 |
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s(FHIR) (발표자: 박민지) <배경> - 국제 표준기구, HL7 (Health Level Seven International) 제작 - 연방정부 : 전자건강정보(EHR) 인증 과정에서 정보의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 향상 위한 요구 사항 제시 데이터 교환 표준, 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s(FHIR)이용 <정의> - 불꽃을 의미하는 Fire 처럼 ‘퐈이어, [faɪə(r)]’로 발음 - 의료정보 기술 표준을 목적으로 하는 차세대 의료정보 표준 프레임워크 : 다양한 형태의 건강정보 데이터 구현 :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같은 의료정보 문서 교환기술과도 매핑 가능 폭넓은 상호운용성 ![]() (출처: 보건의료정보표준, 기술표준(FHIR), 2021.04.21., 개요 | 기술표준(FHIR) : HINS 보건의료정보표준시스템) <의의> - 제 3의 디지털 헬스 tool들의 결과가 EHR 데이터베이스에 쓰이지 않고 직접 EHR workflow로 통합될 수 있도록 지원 - 법적, 보안상 문제 해결 - Apple의 경우, FHIR-enabled EHR 아이폰의 건강 어플리케이션 애플 생태계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정보전달 - 'SMART-on-FHIR' 통합접근법 (Substitutable Medical Applications and Reusable Technologies) : 의사가 별도의 로그인 없이 내장된 창(embedded window)을 통해 환자의 어플리케이션이나 센서의 데이터를 확인 ![]() (출처: Sim I. Mobile Devices and Health.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9. 381(10). 956-968.) <출처> 1. Sim I. Mobile Devices and Health.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9. 381(10). 956-968. 2. 보건의료정보표준, 기술표준(FHIR), 2021.04.21., 개요 | 기술표준(FHIR) : HINS 보건의료정보표준시스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