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빅데이터 연구동향[03월15일] | ||
|---|---|---|
| 작성자 방관욱 | 조회수 310 | 작성일 2022.03.15 |
□ 헬스케어산업을 바꾸는 원격의료 빅데이터 분석:Big Data Analytics in Telemedicine Reshaping the Healthcare Industry
원격의료시장은 최근 급성장하고 있으며, 빅데이터 분석은 이러한 빅데이터의 큰 흐름을 바꾸고 있다. 최근 COVID-19로 인하여 원격의료의 이용은 급증하고 있다. 점점 더 많은 의사들과 환자들이 원격의료를 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원격의료로 인하여 의사는 멀리 떨어져 있는 환자들을 수술하거나, 물리치료사가 환자를 대면하지 않아도 수술 후 재활 모니터링 하는 것이 보편화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원격의료의 흐름이 COVID-19가 끝난 이후에도 지속될지에 대한 생각은 해보아야 한다.
그 답은 '지속될 것이다' 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앞으로 몇년 동안 국제사회에서 원격의료시장은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한 투자역시 크게 이루어질 것이다. 최근 보고서1)를 보면, 원격의료시장은 현재 약 318억달러(한화 약 40조)에 달하며, 앞으로 더 많은 의사들이 원격의료를 받아들이게 되면서 그 시장은 향후 3년 뒤인 2025년 1,305억달러(한화 약 162조)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원격의료는 그에 맞는 기술 없이는 불가능하지만 현재 의료계에서는 항상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도입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원격의료를 지원하는 기술 중의 하나는 빅데이터 분석이다. 빅데이터와 원격의료의 결합은 의료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건강정보학의 경우, 사물인터넷(IoT)와 원격의료를 융합하여 스마트병원, 스마트수술실, 스마트헬스케어 모니터링 등의 형태로 등장하였고, 이러한 의료용 사물인터넷(IoT) 기기에서 생성되는 엄청난 양의 데이터들은 더 빠른 지식, 분석 및 정보의 공유를 위한 '건강정보학'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게 되었다. 이 건강정보학의 핵심이 되는 것이 바로 빅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과 같은 기술이다.
빅데이터가 원격의료를 발전시키고 환자와 의료제공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다른 영역을 보도록 하겠다.
1) 더 나은 진단 의약품을 환자에게 처방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요인들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방대한 양의 의료데이터를 보고 섬세한 분석을 해야한다. 이때 발생하는 분석의 오류는 의학적으로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가 있기 때문에 유의해야한다. 일반적으로 의사는 진단을 하기 위해서 환자가 주관적으로 보고하는 증상에 의존하게 된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웨어러블 기기가 많기 때문에 의사는 웨어러블 기기에서 수집한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환자를 진단할 수 있다. 빅데이터 분석은 이때 그 진단을 내리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의사는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사용가능한 방대한 양의 의료 데이터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2) 치료 후 모니터링 및 약물 치료 일반적으로 치료가 끝나게 되면 예후관찰을 위하여 원격진료를 통해 환자의 건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는 환자가 후에 의사에게 방문을 하지 않아도 되게 하며, 물리적으로 병원에 방문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특히 노인이나 허약한 환자에게 유용하다. 빅데이터 분석기술을 사용하여 원격환자에게 올바른 약물 투여량과 올바른 치료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환자와 의사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일이다. 또한 모니터링 및 약물치료가 원격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의료 비용이 상당히 감소하게 된다.
3) 클라우드의 의료정보 전자기록
수많은 양의 의료정보데이터는 의료정보 전자기록 또는 환자의 EHR(한국의 EMR)로 저장할 수 있다. 클라우드에 저장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장소에 상관없이 전세계의 의료종사자들이 이를 활용할 수 있다. 이는 의사가 원격으로 환자를 치료해야 할 때 유용하다
4) 예측분석 예측분석은 의료 종사자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빠르게 의료에 대한 결정을 내리고 환자의 건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복잡한 질병이나 만성 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 유용하다. 의사는 중요한 의학적 사건을 미리 예측하고 환자의 상태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환자의 건강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기 위해 의료용 사물 인터넷(IoMT)이 사용되고 있다. 이 데이터에 빅데이터 분석을 적용하여 환자의 건강 통계를 모니터링하고, 상태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이상 징후를 미리 알 수 있습니다. 5) 전염병의 조기 발견과 예방
의료 데이터 분석은 전염병의 패턴을 연구하고 특정 지역의 미래 발병을 예측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빅데이터분석은 추세를 연구하고 질병의 확산을 예측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감염 부위가 확인되면 원격진료를 통해 치료와 모니터링을 시작할 수 있다. 6) 미래 빅데이터분석과 원격의료의 결합은 환자를 더 잘 돌볼 수 있도록 의사에게 데이터 기반의 통찰력을 제공한다. 비용절감과 함께 가치 기반의 의료 제공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빅데이터의 영향력은 이전에는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의학의 다른 많은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최근 원격의료의 발전은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다. 이 분야에서는 아직 발굴되지 못한 거대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원격의료에서의 방해물은 데이터의 개인정보보호와 보안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잘 해결한다면 빅데이터는 진정한 힘을 발휘할 수 있으며, 앞으로 몇년간은 원격의료에서 빅데이터분석의 더 많은 활용을 보게 될 것이다.
원문기사링크 : https://www.datadriveninvestor.com/2020/05/15/big-data-analytics-in-telemedicine-reshaping-the-healthcare-industry/
참고문헌 1) Telemedicine Market to Cross $130.5 Billion by 2025: Global Market Insights, Inc.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