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외 언론동향

처음으로

공지사항 상세
장애인 건강 관련 해외언론동향 ['24.12.05]
작성자 관리자11 조회수 125 작성일 2024.12.05
"장애를 없앨 수는 없을 것입니다" ... 의사가 장애인 건강 관련 지원을 위한 활동을 하는 이유

인도 델리(Delhi)의 장애인 권리 운동가이자 구루 테그 바하두르 병원(Guru Teg Bahadur Hospital)의 의사인 사텐드라 싱 박사(Dr. Satendra Singh)는 정부와 사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장애인들이 여전히 의료시설에서 다양한 장애물에 직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싱 박사는 병원의 물리적 공간 뿐만 아니라 웹사이트와 진단 장비 등의 요소들 역시 장애인의 의료서비스 접근을 방해하는 주요 요인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싱 박사는 의과대학과 병원에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을 도입하여 포괄적 설계(inclusive design)를 구현하면, 장애인뿐만 아니라비롯하여 만성질환자, 임산부, 노인, 소아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에게도 큰 혜택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장애를 제거하기보다는 지원 시스템을 강화하여 모든 사람이 사회에 자연스럽게 통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싱 박사는 병원 서비스와 진단 장비에서 포괄성을 높이는 구체적 변화를 위해 시각장애인을 위한 QR코드 도입 등을 제안한 이력이 있다.

Mrinalini Dhyani. 'Disability will always exist.' Activist-doctor calls for focus on strengthening support systems. ThePrint. December 3, 2024.
뇌심부자극(Deep Brain Stimulation) ... 파킨슨병, 우울증 다음은 뇌졸중 및 뇌 손상 증상 개선까지?

미국 피츠버그대학교(University of Pittsburgh) 연구팀은 원숭이와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뇌심부자극(Deep Brain Stimulation, DBS)이 뇌 손상 혹은 뇌졸중으로 인해 약화된 팔과 손의 힘과 기능을 즉각적으로 개선함을 보고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DBS가 근육 활성화를 개선하고 손아귀 힘을 강화하며, 불수의 운동 (근육의 떨림 등) 없이 팔의 움직임을 복원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인간 대상 실험에서도 동일하게 보고되었다. 연구진은 DBS의 장기적인 영향과, 뇌 손상 및 뇌졸중 환자에게 장기적으로 사용할 시 팔과 손의 기능이 더욱 개선될 가능성이 있는지 연구할 계획이다.

University of Pittsburgh. Deep brain stimulation instantly improves arm and hand function post-brain injury. ScienceDaily. October 1, 2024.

(대표 이미지 출처: Mayo Clin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