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건강 관련 해외언론동향 ['24.11.05] | ||
---|---|---|
작성자 관리자11 | 조회수 203 | 작성일 2024.11.05 |
"우리와 함께하는 모두" ... 미국 국제개발처의 새로운 장애인 삶의 질 향상 정책 올해 10월 31일, 미국 국제개발처(United States Agency International Development, USAID)가 포괄적이고 발전된 새로운 장애인 정책을 발표했다. 이 정책의 주요 목표는 장애인의 권리와 포용성을 보장하고, 이들이 경제와 사회 전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특히 USAID는 장애인 단체 등과의 국제적인 협력을 강화하고, 장애인 접근성 및 평등을 진행 중인 모든 프로그램에 통합할 예정이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향상시키고, 글로벌 포용성을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Office of Press Release. USAID Announces New Disability Policy. United States Agency International Development. October 31, 2024. (https://www.usaid.gov/news-information/press-releases/oct-31-2024-usaid-announces-new-disability-policy) '원격 의료'에서도 소외되는 장애인... "모든 부담은 이용자가 해결해야"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발전된 원격 의료 서비스가 장애인들에게 필요한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모든 장애인에게 충분한 지원을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원격 의료는 이동이 불편한 많은 장애인들에게 의료 서비스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기회였으나, 기술적 장벽이나 필요한 장비의 부족, 특히 의료진과의 소통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실제 효과를 거두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많은 장애인들은 여전히 의료 서비스 접근성에서 차별을 느끼고 있으며, 팬데믹이 소강 상태에 접어든 지금까지도 이 문제는 해소되지 않고 있다. 장애인 의료 서비스 이용자들이 원격 의료 과정 속에서 겪은 곤란을 다룬 CNN의 2년 전 기사를 소개한다. 기사는 아래 출처에서 확인할 수 있다. Lauren Weber, Kaiser Health News. People with disabilities left behind by telemedicine and other pandemic medical innovations. CNN. March 10, 2022. (https://edition.cnn.com/2022/03/10/health/pandemic-medical-innovations-disabilities-khn-partner-wellness/index.html) (대표 이미지 출처: Courtesy Eric Harkleroad, KH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