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관련 국내언론동향 [02월03일] | ||
---|---|---|
작성자 관리자1 | 조회수 268 | 작성일 2022.02.03 |
□ 치명률 4배 높은데... PCR도 돌봄도 사각지대 놓인 장애인 코로나19 하루 확진자가 2만명을 넘어서며 3일부터 ‘오미크론 방역 체계’ 전면 전환이 이뤄지지만,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코로나19 감염 시 사망 확률이 일반 확진자보다 높은 장애인을 고위험군에 포함시키지 않고, 확진자 대량 발생 시 돌봄 문제를 해결할 대책 역시 전무하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지난달 14일 오미크론 방역체계 전환 계획을 발표했다. 코로나 확진자가 1일 7000명이 넘으면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고위험군이 먼저 받고, 격리기간을 10일에서 7일로 단축하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 지난달 26일 광주, 전남, 평택, 안성 등 오미크론 우세 4개 지역에 이어, 3일부터 전국으로 확대된다. 그러나 정부가 정한 고위험군에는 장애인이나 홈리스 등의 의료취약계층은 포함되지 않았다. 김필순 기획실장은 장애인은 확진자들 중에서 사망할 확률이 3~4배나 높으며, 검사 우선순위가 되는것이 맞다고 말했다. 2020년부터 지난해 12월28일까지 코로나19에 확진된 장애인은 총 9943명이며, 이 중 사망자는 335명으로 치명률은 3.37%다. 비장애인 확진자 치명률 0.8%와 비교하면 4배 이상 높다. 그러나 박향 방역총괄반장은 장애인 개별이 고위험군으로 분류되지는 않는다고 밝혔으며, 특별한 상황은 현재 없다고 하였다. 이에 장애인들이 적절한 돌봄 서비스를 받을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도 현재 나오고 잇는 상황이다.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기존에 이용하던 돌봄서비스가 중단되거나 종사자·가족이 확진되더라도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확진자 또는 밀접접촉자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긴급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마저도 대기자가 많아 늦어지는 경우가 많고, 활동지원사 같은 경우는 지원이 끊겨 제공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